2016. 11. 25. 14:18
반응형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라고 하면 주로 비싼 전자제품이나 옷가지를 싸게 사러 백화점 등에 문을 열자마자 뛰어들어가는 광경을 미디어를 통해 보아 왔다. 때문에 미국에 온 이후로 그동안 블랙 프라이데이에는 전자제품 체인인 베스트 바이(Best Buy) 나 메이시스(Macy's) 백화점 등에 방문하거나 상품 제조사의 온라인 할인 행사 등으로 원하던 물건을 싸게 살 수 있었다.


반면 월마트는 원체 싼 물건으로 가득 찬데다 동네 슈퍼마켓 가듯이 가던 곳이라 블랙 프라이데이라고 뭐가 다른게 있을 것이라 생각을 안했는데, 지나가다 보니 개장에 맞춰 들어오려는 사람들을 위한 대기용 펜스를 설치하고 있었다. 이런 날 쇼핑하러 월마트를 가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 하고 들어가 보았는데, 선입견과 다르게 올해 처음 가본 월마트의 블랙 프라이데이(전야)는 물론 그다지 고급진 모습은 없지만 과연 미국 최대 유통업체다운 그야말로 월마트에 딱 맞는 노련하고 여유있는 마케팅을 자랑하고 있었다.


블랙 프라이데이 전용 상품은 아래와 같이 따로 포장되어 복도에 쌓여 있다. 이벤트 상품이므로 블랙 프라이데이 전날 오후 6시 이전에는 판매하지 않는다는 종이가 붙어 있다. 본사에서 파레트 위에 선반 째로 포장하여 배포하고 진열하는 천조국 마트의 위엄. 아래 사진들은 수요일, 그러니까 전전날 찍은 것이므로 아직 물건들을 살 수는 없었다.


개장 시간은 전날 6시이다. 베스트바이는 5시.


사진에는 안나왔지만 전자제품 중엔 VR 헤드셋과 드론이 핵심인듯. 복합기, 프린터와 USB메모리는 평소에도 워낙 싼 물건들이라.....


이녀석은 평소 가격이 69 정도였던 것 같다. 사실 이런게 진짜다.


충동구매하기 딱 좋게 이런 것들은 만원 이하다.


합리적인 소비를 하고 싶다면 이런 상품들만 카트에 담고 계산하고 나와야겠지만 그러지 못하도록 월마트는 곳곳에 위의 이벤트 상품 박스들로 길을 막아 동선을 외길에 가깝게 꼬아 놓았다. 미끼를 문 나같은 호갱들은 결국 이것저것 집어들어 카트를 채우고 만다. 하지만 계산하러 가는 길도 길어서 줄서서 기다리는 동안 자신을 돌아보는..... 명상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 생각없이 집어든 물건과 작별인사를 나눌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다. 나도 계산대 바로 앞에서 올해의 득템.jpg가 될 뻔한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내려놓았다ㅠㅜ 캐셔로 가는 길만 30분 넘게 소요되는데 다른 사람이 포기한 이벤트 상품을 집어드는 쏠쏠한 기회도 있다.


하지만 역시 뭐니뭐니해도 블랙 프라이데이의 진 주인공은 TV이다...... 이 얘기는 다음에

반응형
Posted by 고양이를주셨으니
2016. 11. 21. 14:39
반응형

1. 때는 2001년 수능 (수능을 본건 물론 2000년). 수시모집에 합격하면 정시에 지원할 수 없던 때였다. 수능 백분위 10% 정도의 조건이 수시 합격자들에게 붙어 있었다. 80만명 중 8만등인데 이게 생각보다 쉽지는 않았는지 동재단 여고 선배 중 한 분이 연세대인가 수시 합격했다고 반 전체에 짜장면을 돌렸으나 수능 10% 미달로 불합격했다는 이른바 '짜장면녀[각주:1] 사건'이 동네에 전설처럼 회자되었다.


2. 자연계 학생들의 제2 외국어 점수를 반영하는가 안하는가는 계속 바뀌었다. 결국 고3 1학기 초에 대부분의 대학이 자연계 학생들의 제2외국어 점수를 입시에 반영하지 않는다고 발표했고 3학년 시간표의 중국어 일본어 수업은 그대로 사라졌다.


3. 수능 원서 작성일. 나는 원한다면 제2외국어를 볼 수는 있고 원서비는 동일하다는 점에 주목했고 같은 값이면 보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여 중국어 응시 항목에 체크해서 원서를 접수했다. 재수 삼수하는 선배들이 이날만큼은 모교에 와서 함께 원서를 작성했다.


4. 수능 일주일전쯤 시험장이 발표되었다. 이날 나는 이과반에서 제2외국어를 신청한 학생이 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전교 (10개 반 400여명) 에서 나 혼자만 동수원의 모 중학교로 배정되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제대로 스타가 되었다.


5. 모 중학교, 예비소집일에 가보니 집에서 버스로 40분 가량이 걸렸다. 교통정체를 우려한 아버지가 결국 차로 태워다 주셨다. 교실에 들어가보니 머리를 노랗고 붉게 물들인 장수생 형님들이 많이 보였고 응시 과목도 에스파냐어 러시아어 등등 현역[각주:2]에 중국어 응시인 내가 노말해 보였다. 


6. 휴대폰 전원을 끄고 배터리를 분리한 후 가방에 넣었다. 휴대폰 관련 규정은 딱히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한 반에 휴대폰 가진 친구가 열 명이 채 안되었던 시기였다. 2004년 휴대폰 수능부정사건이 터진 후 규정이 강화되었다.


이번 수능 부정행위 사건에 연루된......

http://underheaven.blog.me/140007970331


[오늘의 역사]11월19일:12년 전 수능 괴담이 현실로... 광주, 휴대전화 컨닝 ‘파장’

h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611182240



7. 내가 시험을 마쳤을 시간에 이미 시내에서는 수능 끝난 고3들이 광란의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다른 교실보다 한시간 늦게 끝났으니..... 전날에 벼락치기를 두시까지 한 까닭에 자고 싶은 생각 뿐이었다. 나오다가 교문에 있던 아저씨에게 답지를 2천원 주고 샀다. 집에 와서 정답을 맞추다보니 언어영역밖에 없었다. 속았다. 그러고보니 답지팔던 아저씨 전과목이라고 한적은 없다. 


8. 집에 와서 천리안(아버지 ID)에 접속해서 답지를 찾아보았으니 PC통신을 전혀 사용해보지 못한 나는 답지를 찾을 수 없었다. 결국 PC방에 가서 인터넷으로 정답을 맞춰보고 스타를 몇 판 하고 집에 왔다. 점수가 지나치게 잘나와서 서울대는 백프로인줄 알았는데 그다음날 신문을 보니 사상 최고의 물수능...... 만점자도 불합격했던 해였다. 우리 바로 다음이 그 유명한 이해찬 세대다.


9. 대학 원서는 서점에서 구입하여 작성 후 해당 대학에 가서 줄서서 제출해야 했다. 서울대에는 뉴스에서나 보던 실시간 경쟁률 게시판이 있었다. 인터넷 접수가 가능한 대학[각주:3]도 있었으나 ADSL 등의 초고속인터넷이 이제 막 가정에 깔리기 시작했을 무렵이었고 무엇보다 아직 인터넷을 그렇게 믿지 못하던 시대였다. 인생이 걸린 일인데 역시 종이에 적어서 직접 갖다 건네줘야 믿을만했다.



한줄요약.


삐삐와 휴대폰, 특차와 수시모집, 종이원서와 인터넷 접수, 천리안과 PC방이 공존했던 세기말은 참으로 평화로웠다.

  1. 지금은 이런 작명이 옳지 않음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때는 20세기. [본문으로]
  2. 수능을 처음 보는 고3 [본문으로]
  3. 인터넷 접수만 가능한, 시대를 앞서가는 대학도 있었다. 숙대가 그랬던 것 같은데 어차피 나와는 상관없던 학교. [본문으로]
반응형
Posted by 고양이를주셨으니
2016. 11. 1. 14:11
반응형

운영체제가 윈7 64bit 이상 (내 경우는 윈10 64bit)이고 2.2TB 이상의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된 용량으로 인식되지 않을 때의 해결 방법이다. 원래대로라면 제대로 인식을 해야 정상이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겼던 문제였다.


어제 Best Buy에서 구입한 2TB하드디스크(큰 용량 한개보다 작은 용량 여러 개를 사용하는게 안전하다고 여겼기 때문)를 개봉하려고 보니 박스 한구석이 칼로 잘라져 있었다. 거기로 빼지는 못할 것 같으니 그냥 써도 되겠지만 여기는 고객의 단순변심에 의한 환불도 보장해주는 미국이니 교환하기로 결정. 사실 찝찝해도 그냥 사용했으면 아래의 장대한 삽질은 없어도 될 뻔 했다. 어쨌든 오늘 다시 매장을 방문하여 다른 2TB짜리 제품이 없어서 3TB짜리로 바꾸고 20달러 정도를 더 지불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이게 단순한 1TB 차이의 문제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나같은 컴알못이 알리가 없었다.


그리고 삽질의 시작


보통 때처럼  e-sata 케이블을 꽂고 윈도우 디스크 매니저를 열었으나 디스크는 없다.


재부팅을 한번 해보고 Disk Management를 들어가 봤더니 자동으로 Initialize를 한다. 오예! 쉽게 되나보다 했더니 MBR과 GPT 스타일 중 하나를 선택하란다. 뭔지 몰라서 찾아보니 부팅디스크도 아니고 3TB 통으로 필요하므로 여기서는 GPT를 선택하는 것이 맞다.


Initialize 후 Device Manager에서 Scan for Hardware change클릭. 여기서는 보인다. 그런데 속성을 보아도 800GB정도밖에 용량이 없다. Disk Management에서도 마찬가지. 포맷을 할 수는 있으나 해도 소용은 없다. 잘못샀나 하고 제품을 다시 봐도 3TB가 맞다.


다시 인터넷 검색. 별로 상관은 없어 보이지만 BIOS 문제일 수도 있단다. msinfo 타이핑 해보니 BIOS Mode는 Legacy 이다. UEFI로 바꿔야 한다고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건 아무 상관이 없었다. 부팅 디스크로 쓸 것이 아니므로. 암튼 PC 제조사인 HP에 들어가서 UEFI 드라이버 설치해봤으나 역시 변한건 없음. 애초에 내 PC용 윈10 드라이버도 없었다. 깔지 말라는 듯.


그러던 중 아래의 지식인 글을 발견. HDD 제조사인 Seagate의 프로그램을 쓰면 인식이 될수도 있다고.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10305&docId=157859405&qb=Mi4y7YWM6528IO2VmOuTnOuUlOyKpO2BrCDsnbjsi50=&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TtlfWlpySEKssbJCB%2Bhsssssss0-383440&sid=qSJZNE1VckF060feZZmUDA%3D%3D


Seagate의 Disc Wizard를 설치. 하지만 역시 여기서도 800GB밖에 인식을 못한다. Add Disk할 때마다 디스크를 읽는 소리가 애처롭게 들린다. 이것도 아님.


그러던 중 Seagate의 Extended Capacify Manager라는 프로그램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름이 딱이다. 이걸 쓰면 될 것도 같다.

 

http://www.seagate.com/support/downloads/beyond-2tb/


하지만 (아래 표는 위 site에서 복사해옴)


Operating SystemBIOSBoot DiskData Disk
Windows Vista and newerUEFI BIOS*Supported by Windows 64 bit onlySupported by Windows
Windows Vista and newerPC BIOSUse DiscWizard Extended Capacity Manager SoftwareSupported by Windows
Windows XPPC BIOSUse DiscWizard Extended Capacity Manager SoftwareUse DiscWizard Extended Capacity Manager Software
 
* Universal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이건 윈도우 XP용이다. Vista이상은 그리고 부팅 디스크가 아니라면 UEFI 가 아니더라도 윈도우에서 지원을 해야 맞는 거라고.


암튼 검색을 계속 하다보니 외국 웹에서도 Beyond 2.2TB 혹은 Beyond 2TB 등으로 부르며 상당한 이슈거리인 듯 하다.


이제 키워드를 알았으니 영문 웹 검색. 그러다보니 다시 Seagate사의 문서가 보인다.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RST) drivers and Support for Disk Drives Beyond 2.2 TeraBytes (TB)

http://knowledge.seagate.com/articles/en_US/FAQ/218615en


무려 SATA 컨트롤러 문제란다. 버전은 아래는 업데이트 후라서 12.9이지만 9.X였다. 10.1이전 버전이면 안된단다.




최신 버전으로 설치한다.

https://downloadcenter.intel.com/product/55005/Intel-Rapid-Storage-Technology-Intel-RST-


그런데 설치가 안된다. Platform not supported란다. 이건또 먼소리냐 이 키워드로 검색해봤더니 칩셋에 따라 드라이버가 다르단다.

http://www.win-raid.com/t25f23-Which-are-the-quot-best-quot-Intel-AHCI-RAID-drivers.html



Intel Chipset/Southbridge:
Recommended AHCI driver:
Recommended RAID driver:
Intel ICH7R/M, ICH8R/M and ICH9R/MIntel RST v11.2.0.1006 WHQL only for ICH7R/M and ICH9M
mod+signed Intel RST v11.2.0.1006 for all of them
Intel RST v11.2.0.1006 WHQL
Intel P45 and X58 Chipset/ICH10RIntel RST(e) v11.7.4.1001 WHQLIntel RST v11.2.0.1006 WHQL (best performance) or
Intel RST(e) v11.7.4.1001 WHQL (newer)
Intel 5-Series Chipsets (like P55)Intel RST(e) v11.7.4.1001 WHQL or
Intel RST(e) v12.9.4.1000 WHQL
Intel RST v11.2.0.1006 WHQL (best performance) or
Intel RST(e) v12.9.4.1000 WHQL (much newer)
Intel 6-Series Chipsets (like P67 or Z68)Intel RST(e) v12.9.4.1000 WHQLIntel RST v11.2.0.1006 WHQL (best performance) or
Intel RST(e) v12.9.4.1000 WHQL (much newer)
Intel 7-Series Chipset Desktop systems (like Z77)Intel RST(e) v13.1.0.1058 WHQLIntel RST v11.2.0.1006 WHQL (best performance) or
Intel RST(e) v13.1.0.1058 WHQL (much newer)
Intel 7-Series Chipset Mobile systems (like QM77)Intel RST(e) v12.9.4.1000 WHQL or
mod+signed Intel RST(e) v13.1.0.1058
Intel RST v11.2.0.1006 WHQL (best performance) or
Intel RST(e) v13.1.0.1058 WHQL (much newer)
Intel 8- and 9-Series Chipsets (like Z87 or Z97)Intel RST(e) v13.1.0.1058 WHQL or
Intel RST(e) v13.2.4.1000 WHQL
Intel RST(e) v13.2.4.1000 WHQL or
Intel RST v11.2.0.1006 WHQL
Intel 100-Series Chipsets (like Z170)Intel RST(e) v14.8.12.1059 WHQL or
Intel RST(e) v15.2.0.1008
Intel RST(e) v14.8.12.1059 WHQL or
Intel RST(e) v15.2.0.1008
Intel X79 ChipsetsIntel RST(e) v13.1.0.1058 WHQLIntel RST v11.2.0.1006 WHQL (best performance) or
Intel RST(e) v13.1.0.1058 WHQL (much newer)
Note: Both options require the RST BIOS mode.
Intel X99 ChipsetsIntel RST(e) v14.8.12.1059 WHQL or
Intel RSTe v4.5.4.1030 WHQL
Intel RST(e) v14.8.12.1059 WHQL or
Intel RSTe v4.5.4.1030 WHQL


인텔 I5 시리즈는 11.7 또는 12.9를 받으란다. 둘 중에선 높은게 좋아보이니 12.9를 받아서 설치. 이번에는 된다!!! 다만 Seagate Disc Wizard를 다시 설치해야 한다고 한다. 까짓거 지우고 다시 설치. 그리고 Add Disk



하...... 드디어 인식. 위 스샷은 볼륨 추가하고 드라이버 레이블도 붙인 상태이다. 이런건 Disk Management에서 하면 된다.


윈도우 XP 이거나, 이 하드를 부팅용으로 쓰고 싶었다거나 했다면 문제가 더 어려웠겠지만 그저 데이터 저장용으로 쓸 생각이니 비교적 쉽게 해결이 되었다..... 다시 생각해보니 사실 케이블이 e-sata가 아닌 USB였다면 역시 문제는 없었을 터였다....


오늘의 교훈


1TB차이가 이렇게 무섭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고양이를주셨으니
2016. 10. 15. 21:10
반응형

발사연기 - 10월 17일 오후 7시 40분 (EDT)

http://www.orbitalatk.com/news-room/feature-stories/OA5-Mission-Page/default.aspx?prid=180



https://scontent-lga3-1.xx.fbcdn.net/v/t1.0-9/14708288_1397804980249599_2077090003328352102_n.jpg?oh=ccfed5c38e00b1c78a65c961fca1512e&oe=58A29298


이거슨 레알 로켓배송!


이걸 쏘는 목적은 ISS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해서이고, Mid-Atlantic region에 있는 발사장에서 발사한다는데 지도로만 봐선 메릴랜드인지 버지니아인지 모르겠다 (주소를 찾아보니 메릴랜드 주 경계 가까운 버지니아에 위치). 파란색 정도면 500km ~ 600km 정도 거리인데 이정도면 대포동 미사일을 동해안에서 발사했을때 남한 영동지방에서 보일만한 거리다. 만약 촬영이 가능하다면 한국 기자들이 놓쳤을 리가 없는데 기사화를 못시킨건지 안시킨건지는 알수없다.


로켓을 만들고 발사하는 오비탈 ATK는 우주선을 만들던 오비탈 사와 군수업체 Alliant Techsystems (ATK)의 우주항공 부문이 2014년 합병하여 만들어진 회사라고 (https://en.wikipedia.org/wiki/Orbital_ATK). 사기업도 이정도는 손쉽게 해내는 미국이 참 부럽다. 전쟁질이 아니고 이런 거면 그 많은(ㅠㅜ) 세금내는 보람도 있다.....


아무튼 날씨가 좋으면 내일 저녁에 좀 높은 곳을 찾아가 보아야 겠다!


아래는 나사 월로프 항공센터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NASAWFF) 에서 퍼온 발사 준비 사진.


바다에서는 더 잘보일듯


격납고에서 꺼내는 장면


기우뚱.....


준비완료




반응형
Posted by 고양이를주셨으니
2016. 10. 3. 16:10
반응형

에제르 미지온(히브리어: עזר מציון = Ezer Mizion or Ezer Mitzion, 시온으로부터의 도우심)은 이스라엘의 의료 지원 기구이며 이스라엘의 환자, 장애인 및 노년층에게 다양한 의료 및 사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제르 미지온은 특히 장애아, 암 환자 및 테러리즘 피해자들에게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또한 세계 최대의 유대인 골수 기증등록 은행을 운영한다. 690,000여 명이 기증을 위해 등록하였고 이를 통해 1,400여 건의 조혈모세포 이식이 이루어졌다.


에제르 미지온은 1979년 설립되었으며 이스라엘 전역에 지부를 두고 있다. 전국 10,0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모든 활동을 무료로 제공한다.


영어 위키피디아 항목

http://en.wikipedia.org/wiki/Ezer_Mizion


히브리어 위키피디아 항목

http://he.wikipedia.org/wiki/%D7%A2%D7%96%D7%A8_%D7%9E%D7%A6%D7%99%D7%95%D7%9F


작성된 한국어 위키피디아 항목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C%A0%9C%EB%A5%B4_%EB%AF%B8%EC%A7%80%EC%98%A8



에제르(ezer)는 도움이란 뜻. 히브리어 화자들은 [에쩰]에 가깝게 발음한다. 한글로는 유명한 지명 에벤에셀(Eben-Ezer)에서 보듯 구약성서를 번역할 당시에는 [에셀]이라고 표기하였지만 최근에는 대통령 '에제르 바이츠만'의 경우처럼 [에제르]로 표기하는 것 같다. 미지온(Mizion)은 '시온으로부터의'라는 의미.... 라고 한다. 이건 뭐 설명이 필요없고. 히브리어 발음은 [밋 찌온]에 가까운 듯 하다.



반응형
Posted by 고양이를주셨으니
2016. 10. 3. 16:00
반응형

[클래식 리뷰] '역전 또 재역전' 수원FC, 수원 삼성에 5-4 승...역사적 첫 승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13&aid=0000040295


빗속의 후반 난타전 끝에 한 경기 무려 9골이 터지며 수원 더비에서 수원 FC가 승리. 4-5 라는 이 점수는 본 경기 종료 시점 부산에서 벌어지던 NC 다이노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득점과 같았으며 (NC 5 - 4 롯데 종료 시점 NC 11 - 6), 광주에서 kt 위즈와 기아 타이거즈는 당시 1 - 1로 비기고 있었고 (최종 kt 1 - 3 KIA) 넥센도 4 - 1로 한화를 제압했으니 종료 시점에서는 동시에 벌어진 프로야구 세 경기 모두 이 축구경기보다 득점이 같거나 적었다...ㅡ,.ㅡ  심지어 그 중 두 경기는 최종 점수도 이 수원 더비보다 적은 득점이 나옴... 여러모로 신기한 날이다.


재미있다고 올리는 포스팅이지만 창단때부터의 오랜 수원삼성 팬으로서 사견을 달자면 길다면 긴 20년 역사에서 구단에 부침이 없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케이리그 자체의 위기라고는 하지만 (유입팬이 적고 매니아층만 즐기고 뭐 그런 이야기) 전 세계를 둘러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굴러가는 리그 많다. 야구 축구가 동시에 열리는 미국 일본을 봐도 축구가 상대적으로 마이너이지만 수만명씩 잘만 들어찬다. 삼성그룹의 지원축소도 모기업(또는 지자체로부터의) 재정적 독립이라는 오랜 숙원에 한걸음씩 다가가는 계기가 된다면 나쁠 것도 없지 않을까 싶다.


[클래식 POINT] 염기훈의 ‘눈물’과 단장의 ‘약속’, ‘바닥’ 찍은 수원

http://interfootball.heraldcorp.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186


그렇다고 팬들의 이런 비판이 쓸데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만큼 뜨거운 마음으로 팀을 응원하는 팬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니.

반응형
Posted by 고양이를주셨으니